NEWS ROOM



㈜바이오니아(대표이사 박한오)의 ‘바이오니아 현장형 분자진단장비를 이용한 약제내성 결핵 진단키트 개발 프로젝트’가 글로벌헬스기술연구기금(RIGHT Fund : Research Investment for Global Health Technology Fund, 이하 라이트펀드)의 투자 프로젝트에 선정됐다고 발표했다.

결핵은 전 세계 10대 사망원인 중 하나로 2017년 기준 1000만 명의 결핵 환자가 발생했고 사망자는 160만 명에 달한다. 세계보건기구(WHO)에 의하면 2015년 기준 전 세계 약물내성 결핵 환자의 25%만이 진단 및 치료되고 있다고 보고되었고,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에 의하면 일반적인 결핵 치료제인 리팜피신(rifampicin)이나 아이소나이아지드(isoniazid)에 반응하지 않는 다제내성 사례가 매년 50만 건 이상 보고되었다.

현재 WHO로부터 사용이 권고되는 현장형 분자진단제품은 결핵균 감염과 리팜피신의 내성 여부만 진단할 수 있는 한계점과 진단키트 가격도 고가라는 문제점이 있다. 약물내성 결핵 환자 수는 계속 증가하고 있어 다양한 약제들에 대한 내성검사를 경제적인 가격으로 쉽게 할 수 있는 차세대 결핵 진단키트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바이오니아는 이 프로젝트를 통해 기존에 보건복지부와 산업자원부의 지원을 받아 개발해 온 현장형 신속분자진단장비인 IRON-qPCR™을 이용하여 약 30분의 소요시간으로 결핵균 감염 여부와 함께 리팜피신을 포함해 여러 결핵약제들의 내성을 동시에 진단할 수 있는 제품을 개발하게 된다. 여기에 사용되는 진단키트 원부자재들을 모두 자체 개발하였고 대량생산능력을 갖추고 있어, 개발 성공 시 개발도상국의 결핵 환자 관리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경제성을 갖춘 차세대 결핵 진단키트 공급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 프로젝트에는 결핵신속진단 제품개발에 참여해 글로벌 임상평가를 성공적으로 수행하여 WHO를 통해 결핵신속진단시스템을 전 세계에 보급하는데 기여했던 FIND(Foundation for Innovative New Diagnostics)와 국내에서 다제내성 결핵의 국제협력 연구를 지속적으로 수행해온 (재)국제결핵연구소가 파트너로 참여한다.

바이오니아는 양 기관의 컨설팅을 통해 제품을 개발하고 협력 기관들의 제품성능평가 및 다국가 임상평가를 수행하여 CE 인증 및 WHO 제품사용승인 프로세스를 진행할 계획이다.

글로벌헬스기술연구기금(Research Investment for Global Health Technology Fund, 라이트펀드)는 한국 정부, 한국생명과학기업, 해외투자자 3자간 민관협력으로 만들어진 국내 최초의 비영리재단이다. 한국의 뛰어난 보건의료 R&D 기술력이 글로벌헬스의 지역 및 소득간 불균형 문제 해결에 기여할 수 있도록 2018년 7월 설립되었다. 보다 자세한 내용은 라이트펀드 웹사이트(http://www.rightfund.org)를 통해 확인이 가능하다.

 

FIND(Foundation for Innovative New Diagnostics)
FIND는 스위스 제네바에 본사를 둔 글로벌 의료환경 개선을 위해 설립된 비영리 단체이다. 중저소득국가의 주요 질병 진단에 필요한 정확하고 경제적인 진단키트 개발을 촉진하고 WHO 및 국가 정책에 필요한 증거를 생성해 효과적인 이행을 가능하게 하는 국제 비영리 단체이자 WHO Collaborating Center이다.
https://www.finddx.org/

(재)국제결핵연구소(ITRC, Intenational Tuberculosis Research Center)
ITRC는 다제내성 결핵의 치료와 예방을 위한 기초 및 임상연구, 결핵치료용 신약개발, 예방접종 및 진단기법 개발ㆍ촉진, 결핵 연구자 및 연구기관들과의 네트워크 구축ㆍ확대, 국내외 전문가양성을 위한 교육 및 훈련, 다제내성결핵 전반에 걸친 다양한 분야의 협력 연구 활성화 등을 병행수행 함으로써 국내외 결핵 퇴치를 목적으로 하는 비영리 기관이다.
http://www.itrc.kr/

 




㈜바이오니아(대표이사 박한오)는 자체 개발한 탈모 증상 완화에 도움을 주는 기능성 화장품 후보물질이 국제화장품원료집(ICID, International Cosmetic Ingredient Dictionary)에 등재됐다고 9일 밝혔다.

국제화장품원료집(ICID)은 전 세계적으로 화장품 원료 선택의 기준이 되는 지표다. 미국화장품협회(Personal Care Products Council, PCPC) 산하 국제화장품원료위원회(International Nomenclature Committee, INC)의 엄격한 심사를 통해 표준화된 명칭을 결정해 ICID에 등재한다.

이번에 등재된 바이오니아의 물질은 자체 RNAi 원천기술인 SAMiRNA™ 플랫폼 기술이 적용되었다. 탈모를 유발하는 물질로 알려진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DHT)이 달라붙을 안드로겐 수용체(AR)의 생성을 억제함으로써 DHT에 의한 탈모 증상을 완화시킨다. 또한, 안드로겐 수용체의 양 자체를 줄이기 때문에 기존 탈모 치료제 대비 부작용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바이오니아는 현재 안드로겐성 탈모증(유전적 탈모)으로 진단된 남녀 환자를 대상으로 후보물질의 인체적용시험(24주)을 진행 중이며, 연내 식품의약품안전처에 기능성 화장품 품목허가 신청 및 내년 사업화를 목표로 하고 있다. 등재된 후보물질은 인간 모근세포와 모근조직을 대상으로 한 실험에서 우수한 AR 발현저해능을 확인하여 작년 11월 국내 특허를 출원했으며, 사람을 대상으로 실시한 인체피부일차자극시험에서 무자극 판정을 받아 안전성을 입증했다.

바이오니아 관계자는 “자체 개발한 탈모 증상 완화에 효과가 있는 후보물질을 국제화장품원료집에 등재되어 화장품 원료로 사용할 수 있게 되었고, 전 세계 화장품 회사에 공급도 가능하다”며 “현재까지 개발된 적이 없는 RNAi 기술을 적용한 새로운 메커니즘으로, 부작용에 대한 부담 없이 탈모 증상 개선이 기대된다”고 말했다.

회사 측은 전 세계적으로 코스메슈티컬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만큼, 향후 RNAi 치료제 원천기술(SAMiRNA™)을 미백제, 염모제, 주름개선제 등 다양한 기능성 화장품 개발에 활용해 사업영역을 확장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바이오니아는 중소벤처기업부 주관 ‘지역특화(주력)산업육성사업’ 지원과제로 선정되어 RNAi 기반 탈모 증상 완화에 도움을 주는 기능성 화장품 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SAMiRNA™ (Self-Assembled-Micelle-inhibitory-RNA)

바이오니아가 자체 개발한 단일분자RNAi 나노입자로서 미국을 비롯한 전 세계 주요 국가에 물질특허를 등록한 플랫폼 기술로, RNA의 염기서열을 특이적으로 공략할 수 있어 질병의 원인이 되는 유전자의 발현을 억제한다. SAMiRNA™는 단일분자(single chemical entity)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전자동합성기에서 경제적으로 생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달체가 필요 없고 혈액 내 안정성이 뛰어나며 독성이 매우 적다는 장점이 있다. 최근 전임상 독성시험에서 안전성을 입증했으며, 특히 기존 siRNA 신약에서 공통으로 나타나는 선천면역자극 부작용이 나타나지 않았다.

 




㈜바이오니아(대표이사 박한오)가 특발성 폐섬유증(IPF) 신약후보물질 ‘SAMiRNA-AREG(Amphiregulin)’의 전임상 독성시험에서 안전성을 입증했다고 31일 밝혔다.

바이오니아는 자체 개발한 RNAi 기반 플랫폼 원천기술인 SAMiRNA™를 이용해 특발성 폐섬유증에 효과가 있는 치료제 후보물질 SAMiRNA-AREG을 도출했고, 동물실험에서 콜라겐 생성 억제 등 우수한 효능이 확인되었다. 특히 주목할 만한 것은 영장류에 대한 전신투여 안정성시험에서 기존 siRNA신약의 공통적인 부작용인 선천면역자극(innate immune stimulation) 관련 부작용이 나타나지 않았다.

이번 전임상 독성시험은 식약처 비임상시험관리기준(GLP, 식약처 고시)에 의해 지정 받은 안전성평가연구소와 미국 전임상 시험 전문업체 찰스리버 랩(Charles River Laboratories)에서 진행되었다.

안전성평가연구소는 설치류와 영장류를 대상으로 일반독성시험(4주 반복투여독성시험), 유전독성, 안전성약리시험을 실시했고, 찰스리버 랩은 영장류를 대상으로 심혈관계 안전성 약리시험을 실시했다. 그 결과 모든 파라미터에서 어떤 이상이나 변화가 발견되지 않아 약물동태학, 약력학, 조직병리학적으로 SAMiRNA-AREG의 뛰어난 안전성이 확인되었다.

특발성 폐섬유증은 발병 원인 미상인 질환으로, 폐가 섬유화되면서 지속적으로 폐 기능이 저하되어 심각한 호흡 장애를 불러일으킨다. 진단 후 5년 생존율이 43%, 10년 생존율이 15% 정도로 치사율이 매우 높은 난치성 질병이다.

바이오니아 박한오 대표는 “기존에 개발되어 온 타사의 siRNA신약후보물질들은 선천면역반응을 유도하여 부작용을 일으키는 문제점이 있었으나, 신약후보물질인 SAMiRNA-AREG는 SAMiRNA™의 독창적인 구조로 인해 인간과 가장 가까운 영장류를 대상으로 한 독성시험에서 이런 부작용이 없이 안전성이 입증되었으므로, 내년부터 진행될 임상시험을 통해siRNA신약개발의 새로운 지평을 열 수 있을 것이다”라고 언급하고 향후 “폐섬유증 치료제가 개발되면 간경화증, 신부전증, 만성 심근경색 등 근본적으로 발병 기전이 유사한 다른 난치성 섬유화증 질병들에 대해서도 적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회사 측은 특발성 폐섬유증을 대상으로 2020년 상반기에 임상 1상을 진행하는 것을 목표로 현재 임상 CRO 선정을 완료하고 식약처 임상시험계획(IND) 신청자료를 준비 중이라고 밝혔다.

아직까지 특발성 폐섬유증 완치를 위한 치료제는 개발되지 않았고 병의 진행을 늦추는 치료제만 개발돼 있어서 근본적인 치료를 위한 항체, 소분자 신약 등 많은 신약들이 경쟁적으로 개발되고 있다.  단일분자 RNAi 나노입자 신기술인 SAMiRNA™ 기반으로 최초신약(first-in-class) 개발 시 난치병 신약개발의 새로운 장을 열 것으로 기대된다.

바이오니아의 SAMiRNA™를 이용한 특발성 폐섬유증 치료제 혁신신약 개발 프로젝트는 (재)범부처신약개발사업단(단장 묵현상)의 범부처전주기신약개발사업 과제로 선정되어 수행 중이다. 범부처전주기신약개발사업은 글로벌 신약개발을 통한 세계 시장 진출 지원 및 우리나라 제약기업의 경쟁력 확보를 위해 출범한 범부처 정부 연구개발(R&D) 사업이다.

 

SAMiRNA™ (Self-Assembled-Micelle-inhibitory-RNA)

바이오니아가 자체 개발한 단일분자RNAi 나노입자로서 미국을 비롯한 전세계 주요국가에 물질특허를 등록한 플랫폼 기술이다. RNA의 염기서열을 특이적으로 공략할 수 있어 다양한 난치병의 원인 유전자를 대상으로 빠르게 신약을 개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SAMiRNA™는 단일분자(single chemical entity)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전자동합성기에서 경제적으로 생산할 수 있는 장점뿐만 아니라, 전달체가 필요 없고, 혈액 내 안정성이 뛰어나며, 독성이 매우 적다는 장점이 있다. 기존의 siRNA 치료제기술들의 여러 문제점들을 극복한 차세대 siRNA치료제로서 임상개발 성공 시 수많은 난치병 치료제들을 빠르게 개발할 수 있어 주목되는 있는 기술이다.

 




㈜바이오니아(대표이사 박한오)는 프로바이오틱 전문 자회사인 ㈜에이스바이옴(대표이사 김명희)이 락토바실러스 가세리 BNR17(Lactobacillus gasseri BNR17®, 이하 BNR17®)의 브라질 안비자(ANVISA, 국가위생감시국) 등록을 완료했다고 7월 16일 밝혔다. 안비자는 브라질 식품의약품안전처에 해당한다.

에이스바이옴은 BNR17® 균주의 안비자 등록이 완료됨에 따라 판매제품에 대한 품목신고를 하는 대로 브라질 독점공급 계약을 체결한 크리스탈리아사를 통해 본격 판매에 돌입한다. 크리스탈리아는 브라질 내에 약국을 포함해 35,000여 개의 유통망을 보유한 대표 제약기업이다.

크리스탈리아는 BNR17®의 하반기 판매를 목표로 다양한 마케팅과 프로모션을 계획하고 있어 에이스바이옴의 연내 매출도 기대된다. 에이스바이옴의 매출은 2018년 21억, 올해 1분기 19억 8천만원을 기록했으며, 2분기 매출은 전분기 대비 큰 폭의 성장이 예상되고 있다. 본격적인 제품 런칭이 2018년 11월인 것을 감안할 때 단기간에 안정적인 시장 확보와 함께 매출도 가파르게 상승하는 추세이다.

BNR17®은 체지방감소 효과로 식약처로부터 개별인정을 받은 모유유래 유산균이라는 차별화된 소재로 글로벌 경쟁력을 갖추고 있다. 에이스바이옴은 최근 BNR17®의 베트남 식약처 허가를 완료해 현지 기업과 수출 상담을 진행 중에 있다. 라이선싱 계약을 체결한 UAS Labs도 자체 브랜드로 미국 내에 프로바이오틱스 제품을 공급하고 있으며, 유럽과 중국 시장 진출도 추진 중이다. 제품 공급이 본격화되면서 에이스바이옴의 해외 로열티 수입도 함께 증가하고 있다.

에이스바이옴은 ‘비에날씬’이라는 자체 브랜드로 BNR17® 제품 온라인 판매 (http://www.acebiome.co.kr/)를 하고 있으며, 체지방 감소와 장 건강관리 효과로 높은 재구매율을 보이고 있다.

 

크리스탈리아(Cristalia)사

크리스탈리아는 1972년에 설립되었으며, 제약, 원료의약품, 바이오의약품을 생산·공급하는 브라질의 대기업이다. 신약개발부터 원료의약품, 완제품 생산까지 수직일관생산체제를 갖추고 있으며, 현재 직원 5,200여 명과 남미에 3개 자회사(Sanobiol, Latinofarma and IMA laboratories)를 거느리고 있다. 브라질 내에서 95% 이상의 병원에 진입했을 뿐만 아니라 중남미, 중동, 아시아, 아프리카 등 세계 각국에 제품을 수출하고 있다.

https://www.cristalia.com.br/en

 




(주)바이오니아(대표이사 박한오)는 6월 28일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에서 브라질 보건복지부(Ministry of Health) 산하의 국영기업 바이오망기누스(BioManguinhos)사와 ‘체외진단분야 사업 제휴 및 신약개발 공동 연구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사진> 바이오니아와 브라질 국영기업의 ‘체외진단분야 사업 제휴 및 신약개발 공동 연구를 위한 업무협약’ 체결 후 바이오니아의 박한오 대표(왼쪽)와 바이오망기누스의 마우리시우 주마 회장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이날 협약식에는 바이오니아 박한오 대표, 피오크루즈 재단(FIOCRUZ, Oswaldo Cruze Foundation)의 마우리시우 주마 바이오망기누스 회장과 소치리스 마사일리지스 진단 및 신약 개발 총괄책임자 등 양사의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이번 협약을 통해 바이오니아의 분자진단시스템(ExiStation™ 48)을 기반으로 양사의 기술력을 접목해 에이즈, B형간염, C형간염 등 바이오니아가 보유한 감염성 질환 키트의 적용성 평가 및 지카, 뎅기, 치쿤군야 다중진단키트의 현지 임상평가와 사업화를 도모한다.

또한, 바이오니아의 대용량 실시간유전자증폭장비(Exicycler™ 384)를 이용한 혈액스크리닝 사업화와 올리고, 단백질 합성 및 유전자 합성서비스에 대한 연간 공급도 추진된다.

분자진단분야 외에도 바이오니아의 siRNA 기술인 SAMiRNA™를 적용한 유전자기반 신약개발을 함께 진행할 계획이다.

이번 협약으로 바이오망기누스가 보유한 유전체 정보와 분석기술, 임상적용 기술과 바이오니아가 보유한 분자진단시스템과 기술의 시너지를 통해 브라질과 중남미에 필요한 고민감도의 체외진단키트의 조기 개발 및 공공의료기관 진입 등 사업화가 기대된다.

박한오 대표는 “바이오니아와 브라질을 대표하는 연구기관이자 국영기업인 바이오망기누스와의 공동연구와 사업화를 통해 브라질과 중남미지역의 공공보건에 기여함과 동시에 새로운 시장 진입을 통한 매출확대의 기회로 삼겠다”라고 말했다.

바이오망기누스의 마우리시우 주마 회장은 “브라질 보건복지부는 공공 의료 향상을 위하여 고품질의 경쟁력 있는 진단시스템 공급을 추진해 왔다. 이번 협업을 통해 이를 모두 충족하고 양사의 파트너십을 돈독히 하길 희망한다”고 밝혔다.

 

<사진> 바이오니아와 브라질 국영기업 MOU 체결 후 관계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김남일 바이오니아 이사, 한연희 코트라 상파울루 무역관 관장, 박한오 바이오니아 대표, 마우리시우 주마 바이오망기누스 회장, 소치리스 미사일리지스 바이오망기누스 총괄책임, 프리실라 페라즈 바이오망기누스 이사, 라몬 레모스 바이오망기누스 국제 프로젝트 코디네이터

 

이번 바이오니아와 바이오망기누스와의 업무협약 체결에는 코트라 상파울루 무역관(관장 한연희)의 적극적인 협조와 지원이 큰 역할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코트라는 자사화사업을 통해 해외무역관에서 전담 직원이 해당 기업을 위해 시장조사, 수출 거래선 발굴 등 다양한 마케팅 지원을 하고 있다.




(주)에이스바이옴(대표이사 김명희)은 중국 상하이에서 6월 19~21일 개최된 아시아 최대 건강식품박람회 ‘Hi & Fi Asia-China 2019’에서 ‘락토바실러스 가세리 BNR17®’의 체중관리 기능성과 임상 결과에 관해 발표하고, 파트너사인 UAS랩스의 DDS-1 균주와 혼합한 복합유산균주 신제품 런칭 이벤트를 가졌다고 밝혔다.

 

<사진>미국UAS 랩스의 CSO 그렉 레이어 박사가 에이스바이옴의 대표 체중관리 유산균 ‘락토바실러스 가세리 BNR17®’의 임상 및 비임상 연구결과를 발표하는 모습


이번 ‘Hi & Fi Asia-China 2019’는 건강기능식품, 식품원료, 자연식품, 식품제조 및 포장 공정 등을 아우르는 5개의 박람회를 하나로 모아 초대형 식품 박람회로 진행되었다. 건강식품 관련 다양한 업종의 1800여개 업체가 모여 제품 및 서비스를 소개하고, 사업교류를 위해 전 세계에서 10만여명이 참가했다.

에이스바이옴이 지난해 글로벌 라이센싱한 미국 UAS 랩스의 CSO 그렉 레이어 박사는 Hi & Fi Asia-China 행사의 일부로 6월 18일과 20일 진행된 ‘Probiotics Summit’ 행사에서 에이스바이옴의 대표 체중관리 균주 ‘락토바실러스 가세리 BNR17®’의 임상 및 비임상 연구결과를 발표해 참석자들의 많은 관심을 받았다고 에이스바이옴 관계자는 전했다. 행사는 미국과 유럽 등 세계 각지에서 온 수백 명의 프로바이오틱스 산업계 전문가와 종사자가 참석한 가운데 성황리에 진행됐다.

에이스바이옴 김명희 대표는 "이로써 올해 들어 세계적으로 가장 큰 건강기능식품 3대 박람회에서 ‘락토바실러스 가세리 BNR17®’ 체중관리 유산균이 소개되었으며, 지난 3월 미국 애너하임 박람회, 5월에 제네바 비타푸드 유럽, 그리고 지난주 상해 건강식품박람회에서 BNR17®을 소개하고 현대인의 과체중 비만 문제를 개선할 수 있는 건강 솔루션을 글로벌 시장에 소개하게 되어 매우 기쁘게 생각한다"고 말하고, "한국 식품의약품안전처가 개별인정한 한국유래 건강기능식품원료 '락토바실러스 가세리 BNR17®'이 3개 대륙에 걸쳐 체중관리 프로바이오틱스 소재로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고 말했다. 

 이미 국내에서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 '락토바실러스 가세리 BNR17®'은 인체적용시험과 비임상시험을 통해 내장지방, BMI, 허리둘레 및 엉덩이둘레 감소와 지방산화 관련 유전자 발현량을 증가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락토바실러스 가세리 BNR17®'은 탄수화물을 소화되지 않는 다당류로 전환시켜 몸 밖으로 배출함으로써 체지방 감소는 물론 원활한 배변 활동과 장 기능 개선에 도움을 준다.

 '락토바실러스 가세리 BNR17®'은 작년 미국 건강기능식품원료상(NutraIngredients-USA Awards 2018) 체중관리부문 1등상을 수상하여 글로벌 산업계의 주목을 받은 바 있다. BNR17® 균주는 에이스바이옴의 모회사인 유전자 전문기업 (주)바이오니아에서 18년간 연구개발하여 한국인 산모의 모유에서 분리 동정한 균주로, 세계 10개국에서 특허를 획득했으며 세 차례의 인체적용시험을 거쳐 그 효과를 확인했다. 에이스바이옴은 2018년에 유산균 발효 생산에 세계적인 기술력을 가지고 있는 UAS 랩스와 라이센싱을 체결하여 BNR17® 생산 및 판매를 할 수 있도록 하고, 북미지역과 중국 등 라이센싱한 국가에서의 판매액에 대해 일정 퍼센트를 로얄티로 받는다.   




㈜바이오니아의 프로바이오틱 전문 자회사 ㈜에이스바이옴은 베트남 식약청(VFA, Vietnam Food Administration)으로부터 ‘비에날씬(BNRThin)’ 다이어트 유산균 제품에 대한 판매 허가를 획득했다고 30일 밝혔다.  이에 따라 에이스바이옴은 국내, 북미 시장뿐 아니라 베트남 시장으로의 본격적인 진출이 가능하게 되었다.

이번에 베트남 식약청으로부터 품목 허가된 ‘비에날씬’은 한국인 산모의 모유에서 분리 동정한 '락토바실러스 가세리 BNR17®’를 주원료로 하는 제품으로, 이 균주는 바이오니아에서 18년간 연구개발하여 세 차례의 인체 적용시험을 거쳐 그 기능성을 확인하였고, 한국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체지방 감소의 기능성을 인정받은 건강기능식품 개별인정 원료이다.

유로모니터에 따르면 베트남 건강기능식품 시장은 2012~2017년 연평균 13.1%의 성장률을 기록했고, 2022년에는 2017년 대비 40%가량 더 확대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빠른 경제발전 속도와 삶의 질 향상, 인터넷을 통한 정보 교류 확대로 소비자의 의식 제고 및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건강기능식품 수요 또한 높아지는 추세이다.

에이스바이옴 관계자는 “베트남은 중산층의 견고한 증가 속에서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건강기능식품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어 ‘비에날씬’의 새로운 시장으로 기대된다. ‘비에날씬’의 이번 베트남 식약청 판매 허가를 통해 한국 유산균 소재가 베트남 국민 건강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길이 열린데 대해 보람과 자긍심을 느낀다”고 말하고, “그동안 ‘비에날씬’에 대해 관심을 보여온 베트남 현지 기업과 함께 본격적인 수출 상담을 진행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에이스바이옴은 '락토바실러스 가세리 BNR17®’을 지난해 미국 UAS랩스에 라이센싱하여 성공적으로 미주지역과 유럽시장에 진출한 데 이어, 베트남 식약청 허가를 획득함에 따라 아시아 시장 진출의 교두보를 마련했다. 수출 국가를 계속 늘려가면서 글로벌 시장 확대 전략을 지속적으로 펼칠 계획이다.

 

<사진> 에이스바이옴의 '비에날씬' 제품 이미지




○ 해양수산부 주관 차세대 수산물 품질관리 및 검역시스템 구축사업 선정
○ 총 57개월간 정부로부터 35억원의 연구지원비 지원
○ 키트 개발로 수산물 검역시스템의 국산화 구축 및 OIE 등재로 국가적 위상 제고

㈜바이오니아(대표이사 박한오)가 해양수산부의 차세대 수산물 품질관리 및 검역시스템 구축사업(수산생물 검역용 신속진단키트 개발) 과제 공동연구기관으로 선정되었다.


바이오니아는 국책과제를 통해 주관연구기관인 부경대학교(수산생명의학과 김도형 교수)와 함께 2023년 말까지 총 35억원의 연구비(과제 연구비 총 90억중 바이오니아 35억 지원)를 지원받게 되며, 수입 수산물 검역시행장에서 세계동물보건기구(OIE)가 지정한 수산생물질병 법정전염병(10종)의 병원체 보균 여부를 신속하게 진단할 수 있는 키트와 정밀진단 키트 개발 및 OIE 검역시스템 등재를 목표로 한다.


(상세한 내용은 첨부 보도자료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view149_1_img
 
view149_2_img


○ 바이오니아, 프로바이오틱스 전문 자회사 에이스바이옴과 공동으로 2019 BIO KOREA (2019. 04. 17~19, 서울 코엑스) 참가

○ 바이오니아는 자체 개발한 차세대 RNAi 신약 플랫폼 기술 SAMiRNA™(Self-Assembled Micelle inhibitory RNA)와 약물작용점 규명 서비스 GPScreen™을 소개 및 비즈니스 파트너링 미팅 진행

○ SAMiRNA™는 단일분자형 나노입자로, 혈액 내에서 안정적인 구조를 유지하면서 질병의 원인이 되는 단백질에 선택적으로 전달된 후 활성화되어 질병 관련 RNA를 분해하는 획기적인 RNAi 전달 물질임

○ 비임상 동물테스트를 통해 암세포 성장을 억제하는 효과와 탁월한 생체 내 안정성을 모두 확인했고, 대량생산을 통한 단가 인하 및 용이한 QC 공정 등 기존의 다른 신약 개발 회사의 전달체 기술에 비해 탁월한 장점이 있어 국내외 제약사들의 높은 관심 속에 적극적인 파트너링 요청과 미팅이 진행됨

GPScreen™은 세계 유일의 분열효모 게놈 적중 라이브러리 기반의 혁신적인 약물작용점 규명 및 독성 평가 시스템으로, 살아있는 세포를 기반으로 초고속 스크리닝을 통해 빠르고 정확하게 분석

○ 유전체를 기반으로 여러 유형의 약물 타겟 스크리닝이 가능해 신약 개발의 거의 모든 분야에 활용할 수 있어 신약 개발 성공률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음

○ 에이스바이옴은 국내 최초로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체지방 감소 기능성 원료로 인정받은 모유유래 유산균 ‘락토바실러스 가세리 BNR17’이 함유된 프로바이오틱스 제품 ‘비에날씬’을 전시·홍보하여 국내외 참관객의 많은 호응과 관심을 받으며, 글로벌 기업들과의 파트너링 미팅을 진행

○ BNR17은 인체적용시험을 통해 내장지방의 감소 및 지방 산화, 허리둘레, 엉덩이둘레, 체중 개선에 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으며, ‘2018 미국 건강기능원료 상’ 시상식에서 ‘체중관리 원료 상’을 수상해 과학적인 연구와 혁신성을 입증

○ 바이오니아는 이 밖에도 국내 바이오 기업을 대상으로 마련된 ‘보건의료 가상현실 (VR) 홍보관’을 적극 활용해 분자진단시스템을 VR(http://vr.biokorea.org/bioneer.html) 방식으로 홍보해 주목받음

○ 바이오코리아 2019는 대한민국 최대 규모 보건산업 컨벤션으로, 45개국 673개 기업이 참가하고 2만 6천명 이상의 관람객이 방문해 보건산업의 최신동향과 이슈를 파악하고 국제적 정보교류, 기술거래 등 비즈니스 파트너링을 통한 기술사업화 역량 강화를 도모하면서 성황리에 종료



view148_img

○ 바이오니아, ECCMID 2019(2019.04.13~2019.04.16,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참가

○ ECCMID(유럽 임상미생물학 및 감염질환학회)는 유럽 분자진단 분야에서 최고의 권위를 자랑하는 학회. 해당 분야의 전문가들이 모여 최신 이슈와 트렌드를 공유하고, 글로벌 대기업을 비롯한 200여 업체가 전시에 참가해 비즈니스 파트너링이 이뤄지며 연인원 1만 명 이상이 참관

○ 바이오니아는 HIV-1 정량검사 키트, 자동분자진단시스템 ExiStation™ 48A, cfDNA 추출이 가능한 대용량 핵산 추출장비 ExiPrep™ 96 Lite 및 차세대 POC 장비 등을 전시·홍보

○ 바이오니아의 HIV-1 정량검사 키트를 비롯해 다양한 진단키트가 많은 관심을 받았으며, 특히 HIV-1 정량검사 키트는 작년 CE-IVD, List A 인증 획득에 이어 글로벌펀드 구매리스트 등재로 해외 고객들의 높은 주목을 받으면서 문의 쇄도

○ 자동분자진단 시스템 ExiStation™ 48A는 질병의 동시 진단이 가능하고 사용자의 편의성과 효율성을 증가시킨 제품으로, 유사 규모 장비에 비해 컴팩트한 사이즈라 설치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어 꾸준한 관심을 받고 있음

○ 핵산 추출장비 ExiPrep™ 96Lite는 최근 유럽 CE 인증을 획득했고, 한 번에 최대 96개의 검체에서 고순도의 핵산을 30분대에 전자동으로 정제할 수 있으며, 대량 시료를 추출할 수 있어 차세대 암진단 방법으로 기대되고 있는 액체생검시장에 적용할 수 있어 호응을 얻음

○ 바이오니아는 이번 학회 참가를 통해 유럽 및 주변 국가의 고객과 업체에 자체 개발한 특허기술을 적용한 분자진단 키트와 장비를 적극적으로 홍보해 브랜드 이미지를 제고하고, 기존 고객들과의 파트너십 도모와 신규 시장 개척을 위한 다양한 비즈니스를 진행


처음     이전     / 26     다음     마지막
Copyright © 2025 BIONEER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